image.png

안녕하세요, 롤리팝입니다.

이번 웹진에서는 2학년 9개 학급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료와 정보' 단원 수업 사례를 주제로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전체적인 수업 사례를 소개해 드리며, 학생들이 실생활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고 스프레드시트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얻은 교육적 성과와 운영 노하우를 중점적으로 나누고자 합니다.

수업 기획 배경: 왜 '급식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인가?

최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능력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빅데이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학생들의 일상과 밀접한 '급식'을 주제로 선정했습니다.

이 주제는 세 가지 측면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었습니다. 첫째, 모든 학생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친숙한 주제입니다. 둘째, 설문을 통해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셋째, 분석 결과가 실제 학교 급식 개선에 활용될 수 있어 프로젝트의 실용성과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습니다.

6차시로 구성된 프로젝트 수업 진행 과정

1차시: 프로젝트 소개 및 자료 수집 계획

첫 시간에는 자료와 정보의 개념을 설명하고 급식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소개했습니다. 학생들은 5-6명씩 모둠을 이루어 어떤 데이터를 수집할지 계획을 세웠습니다. 선호 메뉴, 잔반량, 급식 만족도 등 다양한 주제가 나왔고, 팀별로 구글 설문지를 활용한 설문지 초안을 작성했습니다.

설문지 초안 예시:

1. 학년/반/성별을 선택해 주세요.
   - 학년: [1학년/2학년/3학년]
   - 반: [1~9반]
   - 성별: [남/여]

2. 오늘의 급식 메뉴 중 가장 만족스러웠던 메뉴를 선택해 주세요.
   - 곤드레쇠고기밥
   - 느타리버섯된장찌개
   - 철판제육볶음&파채
   - 에그타르트
   - 배추김치
   - 애플망고주스

3. 선택한 메뉴의 만족도를 평가해주세요. (5점 만점)
   [1점 - 2점 - 3점 - 4점 - 5점]

4. 이번 주 급식 메뉴 중 가장 아쉬웠던 메뉴를 선택해 주세요.
   (2번과 동일한 메뉴 목록)

5. 아쉬웠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복수 선택 가능)
   □ 양이 적었다.
   □ 간이 맞지 않았다.
   □ 조리 상태가 좋지 않았다.
   □ 개인적으로 선호하지 않는 음식이다.
   □ 기타:_______

6. 남긴 급식의 양은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인가요?
   ○ 거의 남기지 않음(0~10%)
   ○ 조금 남김(10~30%)
   ○ 보통(30~50%)
   ○ 많이 남김(50~70%)
   ○ 대부분 남김(70% 이상)

7. 앞으로 급식 메뉴로 추가되었으면 하는 메뉴를 적어주세요.
   [주관식]

이러한 설문지 초안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팀별로 토론하며 질문을 수정하고 보완했습니다.

메뉴 선호도와 잔반량의 상관관계, 학년별, 성별 선호도 차이 등을 분석할 수 있는 질문들을 추가했습니다.

2차시: 자료 수집 및 스프레드시트 기초

두 번째 시간에는 완성된 설문지를 검토하고 QR코드를 생성하여 배포 계획을 세웠습니다. 학생들은 일주일간 실제 급식을 먹은 후 그날의 급식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스프레드시트의 기본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소개하고, 간단한 서식 지정 및 데이터 입력 방법을 실습했습니다.

학생들은 각 반 단톡방과 학교 SNS를 통해 설문지 링크를 공유했고, 일주일간 설문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정보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로 총 1,000여 개 이상의 응답을 수집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