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귤쌤 🍊입니다. 오늘은 데이터 과학 시리즈를 가지고 왔습니다. 데이터 과학이란 데이터를 통해 현상을 이해하고 의미와 가치를 찾는 학문을 말해요. 데이터 과학을 기반으로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되는 분야이기도 하지요. 넘쳐나는 데이터를 활용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명확한 근거를 통해 의사 결정을 해나가야 하는 지금, 이 시대에 필수적인 학문인 것 같아요. 데이터 과학은 곧 21세기의 나침반 🧭이라고 이름 붙여 봅니다!

출처: ChatGPT

출처: ChatGPT

2022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데이터 과학이라는 교과를 혹시 편제하셨나요? 제가🍊 근무하는 학교는 2015 교육과정의 ‘데이터과학과 머신러닝’이라는 교과를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고, 2022 교육과정에서도 2학년 선택 과목으로 ‘데이터과학’ 교과를 편제한 상태입니다.

수업을 준비하다 보면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가 있기 마련인데요, 아이리스, 타이타닉, 보스톤 주택 가격 예측 데이터가 정제되어 있어 사용하기 편하죠. 다만, 매번 같은 데이터로 접근하니 아이들뿐 아니라 저 또한 흥미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수업을 고민하는데요, 생각보다 데이터를 찾고 정제하여 수업에 맞게 준비할 시간이 많지 않죠 😢 오늘 제가 준비한 자료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aside> 🧭

오늘 자료의 순서입니다!

문제 정의 > 데이터 수집 > 전처리 > 데이터 분석 > 시각화 > 해석 및 제안

</aside>


목표 : SDGs 🌏

지난 호에서 시리얼쌤이 소개했던 SDGs를 다시 한번 소환해 보겠습니다! UN에서 발표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는 2030년까지 모든 나라들이 더 나은 세상을 위해 함께 달성해야 할 총 17개의 목표와 169개의 세부 목표를 말합니다.

출처: 지속가능발전포털(www.ncsd.go.kr)

출처: 지속가능발전포털(www.ncsd.go.kr)

<aside> 🌏

다양한 주제를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 개별 탐구 주제를 선정할 때 안내 자료로 주어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