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크로소프트가 발표한 Work Trend Index 2025는 올해를 '프런티어 기업(Frontier Firm)'이 본격 탄생한 해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프런티어 기업이란 사람과 AI 에이전트가 하이브리드 팀을 이뤄 빠르게 성장하고, 민첩하게 움직이며, 더 빠르게 가치를 만들어내는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조직을 말합니다.
이번 변화는 산업혁명이나 인터넷의 등장처럼, 앞으로 수십 년에 걸쳐 큰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계의 지능과 인간의 판단을 결합한 새로운 조직 청사진이 지금 만들어지고 있는 거죠. 😎
이 보고서는 31개국 31,000명의 직장인 설문, 링크드인 노동시장 트렌드, 수조 건의 Microsoft 365 생산성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조사에 참여한 관리자 이상 응답자의 82%가 올해를 전략과 운영을 다시 생각해야 할 중요한 해라고 답했고, 81%는 앞으로 12~18개월 안에 AI 에이전트가 회사의 AI 전략에 깊숙이 들어올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변화는 이미 시작된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학생들은 어떤 세상으로 나가게 될까요?
수십 년간 전문성과 판단력(지능)은 비즈니스에서 가장 귀중하면서도 한정된 자원이었습니다. 사람의 시간과 에너지, 비용의 제약을 벗어날 수 없었죠. 하지만 이제 AI 덕분에 이런 능력을 풍부하고 저렴하게, 필요할 때 바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이를 **'Intelligence on tap(구매 가능한 지능)'**이라고 부르는데요. 수도꼭지를 틀면 물이 나오듯, 필요할 때마다 AI 지능을 꺼내 쓸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관리자의 53%는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하지만, 전 세계 직장인의 80%는 일을 제대로 할 시간이나 에너지가 부족하다고 답했습니다.
실제로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사이, 직원들은 회의·이메일·메시지 때문에 평균 2분마다 한 번씩 업무가 끊기며, 하루 동안 275번의 방해를 받는다고 합니다. 회의의 60%는 예정에 없던 즉석 회의이고, 회의가 시작되기 10분 전에는 파워포인트 편집이 평소보다 122% 급증한다고 합니다.
결국 직원의 절반 가까이(48%)와 관리자 절반 이상(52%)이 자신의 일이 복잡하고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 느낍니다.
관리자의 82%는 앞으로 12~18개월 안에 AI를 활용해 팀의 업무 처리 능력을 확대할 거라고 답했습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보면 더 와닿습니다. 혼자서 AI 기반 인력 회사를 운영하는 한 창업가는 올해 20억 원 이상을 벌 것으로 예상됩니다. 화학 기업 다우(Dow)는 AI 에이전트가 자동으로 잘못 청구된 비용을 찾아내게 했더니, 첫해에만 수십억 원을 아낄 수 있었다고 합니다. 단 5명으로 이루어진 스타트업 ICG는 건설 시뮬레이션부터 시장 조사까지 AI로 처리하면서 수익을 20%나 늘렸습니다.
이게 학생들에게 뭘 의미할까요? 단순히 "ChatGPT 쓰는 법"을 아는 게 아니라, 어떤 문제를 AI에게 맡기고, 어떤 부분은 사람이 판단해야 하는지를 구분하는 능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