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푸딩 선생님입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과 고교학점제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선생님, 잘 지내고 계신가요?

저는 이번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진행했던 '챗봇 만들기 수업'을 기반으로 한층 발전된 프로젝트 중심 수업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어 그 내용을 여러분께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생의 선택과 진로에 맞춘 수업이 더욱 강조되는 지금, 챗봇 프로젝트는 인공지능 기초 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끌고, 실제 문제 해결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좋은 방법이었습니다. 특히, Dialogflow 플랫폼을 활용한 챗봇 제작 수업은 구글 계정만으로 기계학습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학습과 성능 평가까지 이어지는 흐름을 통해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효과가 매우 높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제가 진행해 온 수업의 흐름과 구성, 그리고 학생들의 반응과 수업 결과를 공유해 드리며, 선생님들의 수업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고교학점제 상황에서 프로젝트형 인공지능 수업을 고민하시는 분들이 계신다면, 이 사례가 참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프로젝트 평가 기준(2022 개정 교육과정)

[12인기02-01] 기계학습을 적용할 문제를 정의하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정하여 수집한다.

[12인기02-06] 딥러닝을 활용하여 실생활 및 다양한 학문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12인기02-01]과 [12인기02-06] 성취기준은 챗봇 프로젝트의 전개 과정과 밀접하게 맞물려 있어 적합하다고 판단했습니다.

2. Dialogflow에서 자기소개 및 학교 소개 챗봇 에이전트 제작 만들어 보기

‘자기소개/학교 소개 에이전트 만들기’ 활동은 Dialogflow의 기본 기능을 익히고, 텍스트 데이터를 어떻게 훈련해 챗봇이 응답을 생성하는지 직접 체험해 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챗봇의 작동 원리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인공지능이 어떻게 의도를 인식하고 응답을 생성하는지를 구체적인 실습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었습니다.

<Dialogflow에 접속하기>

  1. chrome으로 접속(https://dialogflow.cloud.google.com/)

Dialogflow는 기본 인터페이스가 영어로 제공되기 때문에, 한국어 번역 기능의 품질이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실제 수업을 진행해 보니 Edge 브라우저보다 Chrome의 번역 기능이 더 정확하고 자연스러워, 학생들이 메뉴를 이해하고 기능을 익히는 데 있어 Chrome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습니다.

image.png

  1. 학생 계정으로 로그인

학생 계정으로 로그인하게 한 이유는, 챗봇 제작 과정과 결과물이 개인 계정에 저장되어야 이후 학습 내용 확인 및 평가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