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안녕하세요~ 초코쌤입니다.😊
3월의 ‘Github 따라 하기 - 1. Git 이해 및 설치` 의 후속편으로 돌아왔습니다. 1편에서는 Github를 왜 사용해야 하는지? Git, Github, Github Desktop에 대해 이해하셨고, 가장 많이 쓰시는 IDLE과 git 설치, github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2편에서는 저장소(Repository)를 생성하고 코드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Repository name: 레포지토리 이름으로 내 프로젝트(폴더)의 이름을 정하는 것입니다. 같은 계정안에 같은 이름을 가진 레포지토리를 만들 수 없습니다.
Description: 레포지토리가 어떤 프로젝트(코드)인지 설명하는 것이고 필수 입력 사항은 아닙니다.
Visibility: Public과 Private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 Public(공개): 누구나 레포지토리를 볼 수 있게 합니다.
→ Private(비공개): 비공개 레포지토리입니다. 단, 협업 과정에서 이 레포지토리에 초대한다면 비공개여도 같이 보고 협업하며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보통 Private으로 하곤 합니다.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이 부분은 레포지토리 만들자마자 어떤 파일을 포함시킬지에 대한 설정입니다.
→ Add a README file: README.md라는 설명 문서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데, 사용 설명서 같은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 Add .gitignore: 불필요한 파일이 있으면 Git이 자동으로 무시해 주는 파일입니다.
→ Choose a license: 소스코드의 사용 조건을 정하는 라이센스입니다. 오픈소스를 배포한다면 필요하겠지만, 개인 연습 및 과제용 등이면 선택하지 않아도 됩니다.